top of page

What is portfolio?

 

 

 

1. Portfolio에서 보여져야 할 것

특수규격이나 제질 등에 구애 받지 않고 내 작품집을 통해 나의 아이디어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개념화 되었는지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10~20개 사이의 작품이 요구되어지며 이 작품의 선별은 나의 장점을 가장 많이 반영시키는 작품과 추후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작품이 되어야 할 것이다.

 

 

2. Portfolio 준비작업

예술대학은 타 전공과는 다르게 다양성을 추구한다. 이는 우리 각 개인 개인이 다르듯 지원하는 학생들의 작품 또한 다양하기 때문이다. 입학심사관들은 다양한 작품집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들을 선별하는 입장에 있다.

 

 

3. 색채 재질 사용

색채 사용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체험을 증빙할 수 있도록 수성물감, 파스텔 오일, 꼴라쥬, 고무 수채화, 복합 미디어 등을 접목시키자.

 

 

4. 디자인 요소

작품 선택시 2D 디자인과 3D 디자인의 병합 요소 또한 중요시된다. 이는 2D와 3D요소를 모두 다룰 수 있다는 증명의 의미도 되며 3D 작품 경우 사진이나 슬라이드도 첨부할 수 있다

 

 

5. 스케치/아이디어북

이것은 필수로 첨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중요한 성격을 띠고 있다. 아이디어에서 최종 작품까지의 과정 대부분이 이 속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과정 때에도 대다수의 학생들이 이 아이디어북을 지니고 다니며 수시로 떠오르는 아이디어의 창출 및 발전을 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북을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Portfolio에 첨부도 권하고 싶다.

 

 

6. 슬라이드(35mm) 제출 시

대형작품 제출이나 유학 신청시 대부분이 이 방법을 이용한다.전문가에게 의뢰해 준비할 경우 더욱 선명한 슬라이드로 준비할 수 있겠고 이때 35mm 싱글렌즈 리플랙스 카메라와 35mm용 칼라필름의 사용을 권한다.가장 뚜렷한 선명도를 위해선 외부 자연 빛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다.실내용 조명장비를 구비한 경우 실내 촬영도 좋다.가장 중요시 해야할 부분은 작품의 선명도이다.규격 조정시 작품 전체가 카메라 프레임 전체에 들어오도록 하고 3D작품 촬영시 다양한 앵글의 촬영이 필요하다.깨끗한 하얀 바탕의 백면 등을 백드롭으로 하여 작품과의 혼돈이 오지 않도록한다.슬라이드는 한 작품당 한개 위주로 하며 각 슬라이드에 이름을 첨부하여 왼쪽밑 부분에 마크하여 올바른 방향을 정해준다.번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에 각 작품에 따른 규격, 사용재질, 컨셉트 프로젝트명, 제작 일자 등을 첨부하며 작품의 변형과정을 첨부할때에는 2a, 2b, 2c등으로 제작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완성된 슬라이드는 8 1/2" X 11"규격의 클리어한 슬라이드 파일집에 넣는다.

 

 

7. Portfolio프리젠테이션

Portfolio 제출시 다수의 작품이나 거대한 작품위주가 아닌 각 개인이 자신의 작품을 얼마나 존중하는지의 의지를 보여주는 위주가 되어야 한다. 인터뷰 때에는 나의 각 작품에 따른 설명-[프로젝트(작품)의 의도 - 디자인 결정의 도착 - 깨달은점 - 최종작품에 따른 나의 견해]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슬라이드 준비 때에도 위 요소들이 반영되어야 한다. 모든 작품들은 일관성 있게 준비하여 같은 규격으로 제출되는 것이 보는 이에게 유리하다.작품의 재질, 주제, 완성일 등으로 묶거나 순서를 정해서 제출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주로 최근 작품- 최후작품 순으로 하는 경우가 일반화 되어 있다. 숯이나 파스텔, 분필 등 묻어나는 재료를 사용한 작품은 스프레이로 처리한 후 첨부한다.

 

 

8. 비 전공자의 옵션

미술, 디자인 교육을 별도로 받아보지 못한 비전공자 또한 예술분야의 관심 및 재능의 가능성이 보여져야 한다.교육을 통해서가 아닌 나의 개인 관심사(자동차 페인트, 책상디자인, 정원 디자인, 옷제작 등 다)를 반영하는 것이 있으면 왜 이것이 내게 중요한지와 예술대학으로의 진학 희망의사를 설명할 수 있다.Portfolio를 통하여 보여지는 능력과 미래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는 능력 모두 동일하게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스케치(Drawing)

스케치 부분의 능력은 모든 비주얼 아트 분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특수 아이디어의 기록 및 분석 등이 모두 기본 스케치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사진, 잡지 등에서 참고된 것이 아닌 자화상, 인물 크로키, 풍경화 등 사실 배경을 대상으로 스케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색채 재질 사용

색채 사용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다양한 경험과 능력을 보여 줄 수 있도록 수성 물감, 파스텔 오일, 꼴라주, 수채화, 믹스드 미디어 등을 접목시켜보도록 합니다.

 

 

디자인 요소

작품 선택시 2D 디자인과 3D 디자인의 병합 요소 또한 중요시됩니다. 이는 2D와 3D 요소를 모두 다룰 수 있다는 증명의 의미도 되며, 3D 작품 경우 사진이나 슬라이드로 첨부할 수 있습니다.

 

 

스케치/아이디어/리서치북

이것은 필수로 요소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중요한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아이디어에서 최종작품까지의 과정 대부분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입학 후에도 대다수의 학생들이 아이디어 북을 지니고 다니며 수시로 떠오르는 아이디어의 창출 및 발전을 시키고 있기 때문에 아이디어북을 습관화 하는 것이 중요하며 많은 유명 학교들에서도 점차 스케치북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스케치북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슬라이드(35mm) 제출시

대형 작품 제출이나 유학 준비시 대부분이 이 방법을 이용합니다. 가장 중요시 해야 할 부분은 작품의 선명도이며 작품 전체가 카메라 프레임 전체에 들어오도록 하고, 3D 작품 촬영시 다양한 앵글의 촬영이 필요합니다. 깨끗한 하얀 바탕의 백면 등을 이용하여 작품과 혼동되지 않게 주의하며, 슬라이드는 한 작품당 한 개 위주로, 각 슬라이드에 이름을 첨부하여 왼쪽이나 학교의 요구에 따라 마크( · )를 해서 올바른 방향을 정해줍니다. 번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에 각 작품에 따른 규격, 사용재질, 컨셉 프로젝트명, 제작 일자 등을 첨부하며, 작품의 변형과정을 첨부할 때에는 2a, 2b, 2c 등으로 제작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완성된 슬라이드는 8 1/2 X11' 규격의 깨끗한 슬라이드 파일집에 넣습니다.

 

bottom of page